RESTful 3

REST...

REST 설계라는 것에 대해서 조금 더 알게 된 영상과 블로그 글을 공유하며, 간략하게 정리. 결과적으로 REST 설계라고 하려면 self-descriptive 하고, Hypermedia as the engine of application state(HATEOAS)도 지켜야 한다는 것... 대충 설명하는 URI와 HTTP method로 자원의 표현에 의한 상태전달만으로는 REST API로 부르지 말아달라는 REST 설계 개념을 만든사람의 부탁.....이 있으나, 대부분 적당선에서 끊고 RESTful하다고 설명하는 상황. 그리고 그런지 오래된 상황. 아래 영상과 글을 참조하면 좋다. https://www.youtube.com/watch?v=RP_f5dMoHFc https://wonit.tistory.com..

23, 17주차

17주차 이번주는 node.js를 이용해서 백엔드 서버를 구현해 보는 입문 주차였다. node.js 입문주차에서는 동기/비동기, 에러 핸들링 등의 자바스크립트 문법과, 서버를 구현하고 배포하기 위한 패키지 관리, DB연결, REST API의 개념, github 사용, 도메인 연결까지 간단하게 따라 하며 학습했다. 1. 동기와 비동기 (Synchronous / Asynchronous) 공부하면서 단어가 직관적이진 않다고 생각했다. Synchronous는 동시에 일어나거나 시간이 연동된다는 의미가 더 먼저 떠오르기 때문인데, 자바스크립트에서 동기와 비동기의 개념은 연속성에 대한 이야기로 이해하는 것이 더 좋다. Synchronous는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것이고, Asynchronous는 연속적이지 않게 코드..

daily 2023.05.01

23, 16주차

16주차 이번주는... 코딩테스트 문제를 풀었다. 28시간정도 40문제 가량. 가장 어려운 문제라고 해도 프로그래머스 사이트에서는 레벨 1정도인 문제였고 재미있게 풀었으나 조금은 아쉬운 순간이다. 천천히 레벨을 높여가면서 해결해봐야겠다. 코딩테스트 문제의 기본을 풀어가면서, 자바스크립트 문법과 실행 컨텍스트에 대해서 조금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이 이번주의 수확이었다. 가장 기본이 되는 객체, 배열, 문자열, 함수 등을 활용해서 머리로 생각한 논리를 구현하는 연습을 했다. 특히 보기만해도 읽기 귀찮아 했던 재귀함수라던가, map, filter, reduce 메서드 사용 방법에 대해서 조금은 체득할 수 있었다. 각 메서드를 많이 써보고 나니, 일종의 python의 list나 dictionary comp..

daily 2023.04.20
728x90